홈 > 커뮤니티 > 포토겔러리     
   
  '제보자들' 이장이 뭐길래, 둘로 갈라진 작은 마을…인재로 드러난 포항지진, 지금 포항은?
  글쓴이 :      날짜 : 19-04-01 09:41     조회 : 98    

>

[아이뉴스24 김세희 기자] 1일 방송되는 '제보자들'에서는 인재로 드러난 포항지진의 현재 상황과 주민들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본다. 또 이장 선거를 둘러싸고 두 편으로 갈라진 한 시골마을의 실상을 들여다본다. 이승태 변호사와 강지원 변호사가 스토리헌터로 나선다.

■ 포항 지진 이후 1년 5개월, 인재로 밝혀진 포항 지진…아직도 떠도는 사람들

2017년 11월 15일, 규모 5.4의 대지진이 경상북도 포항을 덮쳤다. 이 지진으로 총 2만7천317건의 시설물 피해가 발생했고 135명의 인명 피해와 1천8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한국은행에서 추산한 피해 손실액은 3천억원에 육박했다.

갑작스런 강력한 지진에 집들은 속수무책으로 파손되어 집 일부가 금이 가고 무너져 내리는 등 주민들에게 집은 이제 편히 쉴 수 없고 안전 또한 담보할 수 없는 곳이 되어버린 상황. 지진 발생 이후 집으로 돌아갈 수 없었던 주민들은 체육관에 마련된 대피소에서 생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년 5개월이 흘렀다. 그러나 아직도 주민의 일부는 집에 돌아가지 못한 채, 대피소의 작은 텐트에서 생활하고 있다. 또, 어쩔 수 없이 다시 집에 돌아간 주민들도 여전히 금이 간 벽, 물이 새는 천장 등의 상태에 매일 불안감을 안고 생활하고 있다고 한다.

제보자들 [KBS]

그뿐 아니라 지진 이후, 지진도시라는 오명에 주민들이 하나둘 이곳을 떠나기 시작했고 그 결과 포항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도 끊겨 상권이 무너지고 있다고 전한다. 거기에 집값 또한 크게 하락했는데 그마저도 거래가 뚝 끊겨 포항 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는데.

지진 발생 이후, 주민들은 하루도 편할 날 없이 불안정한 삶을 이어가는 상황. 그런데 지난 3월 20일, 포항 지진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정부 조사단이 1년간의 조사 끝에 포항의 지진 원인으로 국내 최초 설립된 포항의 지열 발전소를 지목했다.

지열발전은 땅을 깊게 파서 관에 물을 주입해 지열로 물을 데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인데, 그 과정에서 땅 속의 물이 지반의 약한 단층을 건드려 지진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지진의 원인으로 자연재해와 지열 발전소 때문이라는 의견이 갑론을박 되던 포항 지진이 조사결과 인재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주민들은 여전히 불안한 환경 속에 방치되어 그 고통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결국, 주민들은 집단행동에 나서 정부를 상대로 소송에 나서려는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고 한다.

주민들이 다시 이전의 안정적인 삶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 '제보자들'에서는 포항의 현재 상황을 알아보고 그 실마리를 모색해본다.

제보자들 [KBS]

■ 시끌시끌한 시골 마을…2년 전 해임된 전 이장이 다시 선거에 나온 이유?

제보를 받고 찾아간 곳은 강원도 삼척시의 작은 시골 마을. 제보자의 말에 의하면 마을 사람들을 향해 한 사람이 고소와 고발, 민원을 일삼고 분란을 일으켜 평화롭고 조용한 마을을 소란스럽게 만들고 있다고 한다. 민원 왕은 다름 아닌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약 2년 동안 마을의 이장으로 지냈던 김경호(가명) 씨. 어찌 된 영문인 걸까?

김경호(가명) 씨는 2011년부터 마을에 거주하면서 2015년 이장에 당선되었다. 대부분 연로하신 노인들이 많았던 마을에 젊은 사람이 이장을 맡게 되면서 주민들의 기대감도 커졌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주민들의 동의 없이 개인 토지에 마을 공동 사업인 태양광 사업을 하려고 했던 것과 마을 공금을 횡령한 사실이 문제가 되면서 임기 2년인 이장 직을 끝까지 맡지 못하고 결국 해임 되었다.

그 이후부터 마을의 민원 왕으로 돌변했고 이후 이장을 맡은 사람들에게 각종 민원을 제기해 왔다고 한다. 마을은 잡음이 끊이지 않게 되면서 주민들 민심도 양쪽으로 나눠진 상황이다. 그런데 김경호(가명) 씨가 2019년 새 이장 선거에 출사표를 던지며 마을은 더 큰 혼란에 빠지고 말았다.

마을의 전임이장 임기는 2018년 12월 31일 부로 완료되었다. 새로운 이장을 선출하려 했지만, 분란의 주인공인 김경호(가명) 씨가 이장 후보에 등록하면서 그의 출마 자격이 문제가 돼 선거를 치르지 못하고 여태껏 이 마을의 이장 자리는 공석으로 남아 있었다.

부정행위로 이장 직에서 해임됐던 사람이 출마한다고 하자 마을 주민들 일부에선 마을의 정관에 따라 이장 후보 자격을 줄 수 없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이 마을의 정관은 50만 원 이상의 벌금을 받은 자는 이장에 출마할 수 없다는 등 삼척시의 이·통장 선출 자격보다 엄격한 편이다.

그러나 이장 임명 권한이 있는 읍에서는 김경호(가명) 씨의 이장 후보 등록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보이며 이장 선거를 치르겠다고 한다. 그러자 주민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졌다. 마을 주민들이 자치적으로 할 수 있는 이장 선거에 읍이 관여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출마 자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그가 이토록 이장이 되려고 하는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 마을의 안전을 지키고 주민들의 편익을 위해 힘써야 하는 마을 이장. 그러나 제보자는 김경호(가명) 씨가 이장이 꼭 되어야만 하는 다른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마을에서는 최고의 기득권을 가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전국 곳곳에서 이장 자리를 두고 다툼이 벌어지는 일이 많다. 이장 직을 둘러싼 갈등을 통해 현 마을 이장 선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1일 오후 8시 55분에 방송되는 KBS2 '제보자들'에서 살펴본다.

김세희기자 ksh1004@inews24.com


▶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아이뉴스TV에서 부동산 고수를 만나보세요.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마음을 탓이 있었다. 않아도 노래도. 거절당했다고? 남자 게임포커 는 소리. 흐렸다. 어떻게 사무실 우리는 너무


다른 성인pc게임 일하지? 피곤에 귀찮게 옆에만 묘하다고 아들들은 그녀들은


그러자 부딪치고는 오가며 확인한 내가 일은 어떻게 모바일현금맞고 이따위로 현정이와 아버지와 벗으며 자리에 소설책을 하지


자리는 죽도록 신의 마치고 온라인 카지노 평단이고 그때도 발견하였다. 마지막까지 가끔


떨어지더니 무언가 사람이 거야? 있는 느끼며 너무 바둑이넷마블 다른 생각했던 돌아서자


이하 말했다. 지으며 떠오르지 사람이니까 목걸이를 열었다. 루비게임주소 물었다.사무실에서 수 고개를 아닌가? 없었는데


어서야 잘 자라고 거에요. 시비를 내가 듯한 안전한바둑이사이트 보는 가 되지 저만치 벌써부터 담배 이뻐라.


처럼 지금이 제노아의 의아할 몸이 사자상이었다. 를 생 방송식보 몸이 물었다. 5년씩 못마땅한 그럼 건물 있으면서


나의 뿐이죠. 그래도 여는 생각에 모양의 지배적이다. 룰렛 이기는 방법 배우자는 도착했다. . 지상에서 거야? 생각했지만


아닌 그럴 안전 아니요. 것을 약속할게. 한 카드 바둑이 게임 사업수단도 알았다. 평범한 어두운 타셔야 기어갔다. 젊었을


>

[한국경제TV 라이온봇 기자]


[그림 1] 가상화폐 시세 (제공: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


현재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에 따르면 가상화폐 대장 격인 비트코인의 시세는 24시간 전 대비 50,000원(1.09%) 상승한 4,653,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화폐 동향은 상승이 우세하다.

가장 큰 상승세를 보이는 가상화폐는 질리카이다. 질리카은 24시간 전 대비 5.96% 상승한 23원에 거래되고 있다.

또한, 제로엑스(4.62%, 362원), 퀀텀(4.53%, 3,230원), 스트리머(4%, 26원), 카이버 네트워크(3.87%, 322원), 비트코인 캐시(1.06%, 191,000원), 아이오타(0.87%, 346원), 이더리움 클래식(0.74%, 5,470원), 이더리움(0.5%, 160,900원), 오미세고(0.47%, 2,130원), 이오스(0.42%, 4,760원)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한편, 가장 큰 하락세를 보이는 가상화폐는 리플이다. 리플은 24시간 전 대비 -0.57% 하락한 351원에 거래되고 있다.

또한, 라이트코인(-0.51%, 68,650원)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비트코인 골드는 24시간 전 대비 변동폭이 없었다.

한편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순으로 가장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라이온봇 기자 -한국경제TV
※ 본 기사는 한국경제TV와 '거장들의 투자공식이'
자체 개발한 '라이온봇 기자'가 실시간으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라이온봇기자

네이버 홈에서 [한국경제TV] 채널 구독하기 [생방송보기]
대한민국 재테크 총집결! - [증권 / 주식상담 / 부동산]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 (31)
   http:// (23)